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흐름을 움직이도록 할 수 있는데
바로 조건문이다.
조건문에는 if가 있다.
조건문은 if ( 조건 ) { 형태로 작성되어지는데
괄호 안에 주어지는 명제가 참이냐 거짓이냐에 따라 실행되어진다.
괄호 안에 있는 조건이 참인 경우 = 괄호 안에 내용이 실행
괄호 안에 있는 조건이 거짓인 경우 = 괄호 안의 내용이 실행되지 않는다.
if문
위의 내용처럼 score가 90 이하인 경우가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
괄호 안의 내용이 실행 되어지거나 실행되지 않게 된다.
괄호 안에는 두 변수를 비교하는 관계연산자가 들어가게 되는데
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를 사용하여 조건이 주어질 수 있다.
else문
거짓인 경우 else문이 사용되어지게 되는데
if와 else를 사용하여 if의 조건이 아닌 경우 else의 조건이 실행되어지게 할 수 있고
else if문
if의 조건이 아닌 경우 else if 그리고 또 아닌 경우 else if ... 조건을 중첩으로 넣어
여러가지 조건의 경우에 실행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.
switch case문
if문과 비슷하게 사용되는 조건문으로 switch case문이 있다.
대부분 if 로 처리하지만 switch case로 더 빠른 실행속도로 처리할 수 있기도 한다.
switch 옆의 정수형변수에 따라 각각의 case가 실행되어 지고,
case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default가 실행되어진다.
값을 늘려나가 경우의 수를 늘릴 수 있고, 빠져나오기 위해 break;를 넣어준다.
derault에는 break;를 넣지 않아도 무관하다.
'공부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변수 타입과 연산자 요약정리 (0) | 2022.06.29 |
---|---|
연산자 (산술,비교,논리,단항,삼항) (0) | 2022.06.28 |
타입변환이란? 자동변환, 강제변환 (0) | 2022.06.27 |
변수 int , float , double , char , String (0) | 2022.06.27 |
주석, 실행문, 세미콜론(;) (0) | 2022.06.27 |